티스토리 뷰

부동산

신탁 등기 부동산 매매 절차

영쩌모 2025. 3. 18. 13:35
반응형

 

신탁 등기가 되어 있는 부동산은 일반 부동산보다 거래 절차가 더 복잡하고 주의할 점이 많음.
매수할 때 신탁 해지 과정과 소유권 이전이 확실히 이루어지는지 확인해야 함!

 


신탁 등기 부동산 매매 절차

1. 등기부등본과 신탁원부 확인 (거래 가능 여부 체크)

  • 부동산 등기부등본(Real Estate Register) 을 확인하여 신탁 등기가 설정되어 있는지 체크
  • '갑구(소유 사항)'에서 신탁회사(수탁자)의 명의로 등기되어 있는지 확인
  • 신탁 방식에 따라 거래 방법이 다름

🔹 신탁방식

  • 담보 신탁 → 신탁 해지 후 거래 가능
  • 관리 신탁 → 신탁회사 동의 필요
  • 처분 신탁 → 신탁회사가 직접 매도 가능

💡 거래 가능 여부 확인 후 진행해야 함!

 

 

2. 신탁 해지 여부 및 방법 확인

매수인이 신탁 해지 절차를 모르면 계약 후 등기 이전이 어려울 수 있음!

 

🔹 신탁 해지가 필요한 경우

  • 매도인이 신탁 해지를 먼저 진행하는 방법
  • 매수인이 신탁 해지를 위한 비용을 부담하고 거래하는 방법

🔹 신탁 해지 없이 거래 가능한 경우

  • 신탁회사가 직접 매도하는 경우 (처분 신탁)
  • 신탁회사의 동의를 얻고 계약 진행 (관리 신탁)

 

💡 체크포인트

  • 신탁 해지 시 필요한 비용과 절차를 확인
  • 매도인이 해지를 진행할지, 매수인이 부담할지 계약서에 명확히 기재

 

 

3. 매매 계약 체결 (특약사항 필수 추가!)

신탁 해지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가 많음.

 

💡 계약서 작성 시 다음 특약 추가

신탁 해지가 완료되지 않으면 계약 해제 가능
신탁 해지 비용 부담 주체 명확히 기재
신탁 해지 일정과 소유권 이전 기한 명확히 설정
필요 시 신탁회사와 삼자 계약 진행 가능

 

 

4. 신탁 해지 진행

  • 매도인이 신탁 해지를 진행해야 함
  • 매수인은 신탁 해지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는지 체크해야 함

💡 진행 과정

1️⃣ 신탁회사에 신탁 해지 요청 접수
2️⃣ 필요 서류 제출 (매매계약서, 소유권 이전 서류 등)
3️⃣ 신탁회사에서 신탁 해지 비용 완납 확인 후 해지 진행
4️⃣ 등기부등본 확인 → '갑구'에서 신탁 등기 말소되었는지 체크

 

 

5. 잔금 지급 및 소유권 이전 신청

✅ 신탁 해지가 완료되었는지 등기부등본에서 확인 후 잔금 지급

✅ 법무사를 통해 소유권 이전 등기 신청

✅ 필요 서류

  • 매매계약서
  • 신탁 해지 확인서
  • 매도인 인감증명서
  • 소유권 이전 등기 신청서

소유권 이전 등기 완료 후 등기부등본 재확인

 

 

6. 최종 점검 및 거래 완료

등기부등본에서 내 명의로 변경되었는지 확인

 


신탁 부동산 거래 시 주의할 점

1. 신탁 해지 비용 부담 여부 확인 → 계약서에 명확히 기재
2. 신탁회사 동의 여부 확인 → 관리 신탁/처분 신탁일 경우 동의 필요
3. 등기부등본 말소 확인 전 잔금 지급 금지
4. 법무사 또는 부동산 전문가 상담 필수


안전한 거래 절차 요약

1️⃣ 등기부등본과 신탁원부에서 신탁 등기 확인
2️⃣ 신탁 해지 필요 여부 및 방법 체크
3️⃣ 매매 계약 체결 (특약 추가 필수!)
4️⃣ 매도인이 신탁 해지 진행 (또는 매수인이 부담 후 진행)
5️⃣ 신탁 해지 완료 후 잔금 지급
6️⃣ 소유권 이전 등기 신청 및 확인
7️⃣ 등기부등본 최종 확인 후 거래 완료

법무사와 함께 진행하면 더 안전함
✔ 신탁 등기 부동산은 일반 매물보다 신중하게 검토해야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