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신탁 등기가 되어 있는 부동산을 매수하려면, 신탁 계약의 내용과 조건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요.
기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등기부등본을 열람하고 신탁원부에서 세부 계약 내용을 확인해요. 최신 정보와 정확한 절차 확인을 위해 신탁회사에 문의하는 것도 필요해요.
1️⃣ 등기부등본 열람
🔹 목적
해당 부동산이 신탁 등기 상태인지 확인
🔹 방법
- 인터넷 등기소(https://www.iros.go.kr) 접속
- 부동산 주소 입력 후 등기부등본 열람 및 발급
- 등기부등본에서 "신탁 등기" 또는 "소유권 이전 신탁" 여부 확인
✅ 확인할 주요 사항
- "신탁원부"나 "신탁 등기"가 존재하는지
- 신탁회사(수탁자) 이름
- 신탁 설정일자 및 만료일
- 신탁 목적 (담보 신탁인지 관리 신탁인지)
2️⃣ 신탁원부 발급
🔹 목적
신탁 계약의 상세 조건 확인
🔹 방법
- 해당 부동산 관할 등기소 방문
- 신탁원부 발급 신청 (인터넷 발급 불가)
- 발급 비용 납부 후 신탁원부 수령
✅ 신탁원부에서 확인할 주요 사항
- 신탁 종료 조건 (언제 신탁이 해지되는지)
- 신탁 해지 방법 (매도인이 해지할 수 있는지)
- 신탁 부동산의 매매 가능 여부 (제한이 있는지)
- 신탁 비용 및 해지비용 (신탁회사에 문의 필요)
3️⃣ 신탁회사 문의
🔹 목적
신탁 해지 절차 및 비용 확인
🔹 방법
- 등기부등본에서 확인한 신탁회사(수탁자)에 연락
- 신탁 해지 가능 여부 & 방법 문의
- 신탁 해지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 금액과 납부 방법 확인
- 해지 진행 시 필요한 서류와 절차 안내받기
✅ 문의할 내용
- 이 부동산은 매매가 가능한 상태인가?
- 신탁 해지 비용은 얼마인가?
- 신탁 해지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는가?
- 해지 후 등기 말소까지 걸리는 시간은?
대표적인 신탁회사
한국자산신탁, 한국토지신탁, KB부동산신탁 등 (등기부등본에서 확인 가능)
신탁 내용 확인하는 3단계 요약
1️⃣ 등기부등본 확인 → 신탁 여부, 신탁회사 확인
2️⃣ 신탁원부 열람 → 신탁 계약의 세부 조건 확인
3️⃣ 신탁회사 문의 → 신탁 해지 가능 여부 및 비용 확인
📌 거래 전에 반드시 신탁 해지 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진행해야 안전해요!
📌 담보 신탁일 경우 대출금 상환이 선행되지 않으면 해지가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도 있어요.
반응형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탁원부 발급 방법 (2) | 2025.03.18 |
---|---|
거래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신탁 부동산은? 해결방법은? (1) | 2025.03.18 |
신탁 등기 부동산 매매 절차 (2) | 2025.03.18 |
부동산의 신탁 해제/해지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 (2) | 2025.03.18 |
매수하고 싶은 집이 신탁 등기가 되어 있을때 주의사항 (1) | 2025.03.18 |